전체 글
-
[프로그래머스 / JAVA] 실패율 (중간에 막힘)코딩/코테준비(JAVA) 2025. 1. 28. 02:01
자바 공부와 코딩테스트 준비를 병행할 겸 자바로 코테 준비를 며칠 전 시작했다.막히거나 틀린 부분이 있더라도, 그냥 그대로 내가 스스로 작성한 부분들을 기록해 두려고 한다. 정답 코드가 아니다. 그냥 미래의 복기용으로 나를 위해 적어둔 기록이다.(이 사람은 어떻게 실패했는지 살펴보는 용도로도 적합할 것 같다.) 이번 코드는 (실패율 기준 내림차순 + 동일 실패율의 경우 작은번호 우선) 이 부분을 구현하지 못해 다 작성하지 못했다.HashMap을 써서 key를 스테이지 번호, value를 실패율로 두고 value를 기준으로 내림차순 정렬을 먼저 하고, key를 기준으로는 오름차순 정렬을 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을 해보다가, 'hashMap은 근데 파이썬의 dictionary처럼 순서라는 게 없지 않을까'..
-
[250122] 근황 공유일상/방학 중 일기 2025. 1. 23. 00:24
요즘 내 일상을 요약하면 취업 대비용 코딩 공부 + 헬스다.군대에 있을 때는 거의 매일 헬스를 했었다.그런데 전역하고 나서는 점점 빈도가 줄더니, 복학하고 나서부터는 거의 운동을 못했다.이제는 4학년 2학기 까지 마치고, 밀려오던 과제와 시험이 사라지니, 조금씩 운동할 여유가 생긴다. 그래서 최근에는 동결건조(?)되어 있던 근육들을 다시 키우고 있다.팔굽혀펴기는 집에서 하고, 밑에 헬스장에 내려가서는 턱걸이랑 기구들을 사용한다.모르는 기구들은 먼저 하고 있던 사람들을 곁눈질로 보면서, 사용방법을 익힌다. 아래는 눈동냥으로 얻어낸 기구 사용법이다.여러 명을 살펴본 결과, 다들 저 의자를 끌고 와서 발을 저기 아래에 고정하고 사용하고 있었다.덕분에 요즘에 잘 이용하고 있다. 헬스장에서 하루 빡세게 운동을 ..
-
[240709] 잠이 오지 않아 쓰는 일기일상/방학 중 일기 2024. 7. 9. 03:04
벌써 대학교 4학년 여름방학이다.새삼 느끼지만 시간이 정말 빠른 것 같다.이대로 그냥 흘러가는 방학 위에 드러누워버렸다간 방학이 끝나있을 것 같은 느낌이다. 이번 방학 때는 정말 뭐라도 해내야겠다. 그나저나, 사실 아직도 잘 모르겠다.나는 어떤 사람이 되고 싶은 걸까?졸업이 다가오니, 직업이라는 것에 대해 생각이 많아진다.나는 어떤 일을 하면서 늙어갈 것인가. 나는 컴퓨터공학과를 나왔기에, 개발과 관련된 일을 하면서 살아가겠거니 하고 있었다.그런데 개발자로서의 삶이 인생에 있어서 나에게 즐거움을 가져다 줄지 스스로에게 물으니,그렇겠다는 대답이 쉽게 나오질 않는다.꼭 컴퓨터공학과를 나오면 개발자 밖에 길이 없는 건가? 삶의 의미를 행복의 관점에서 생각해 보게 된다.나는 어떤 일을 할 때 행복한가. 그저 아..
-
7. Deadlocks (2) - 2 (Deadlock Avoidance~Banker's Algorithm)컴퓨터과학/운영체제 2024. 6. 20. 14:38
Deadlock Avoidance는 4가지 상황(Mutual Exclusion, No Preemption, Hold and Wait, Circular Wait) 중 한 가지는 무조건 막는 Deadlock Prevention과는 달리, 이들을 전부 허용하되, 동작 과정에서 Deadlock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어한다.자원을 할당할지, 말지에 대한 결정은 OS가 한다.Deadlock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면, 자원을 줄 수 있는 상황임에도 주지 않는 선택을 한다. (위험한 길을 회피해서 안전한 길로 가기)미래에 일어날 Deadlock의 가능성을 과거에 미리 예측하려면, 추가적인 사전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제일 간단하고 유용한 방법은, 각 프로세스가 자원마다 최대 몇 개를 사용할 지에 대한 정보를 미..
-
7. Deadlocks (2) - 1 (~Deadlock Prevention)컴퓨터과학/운영체제 2024. 6. 20. 01:05
진행을 못하고 있는(blocked) 프로세스들 각각이, 다른 프로세스가 진행할 때 꼭 필요한 자원들을 움켜쥐고 있으면서 안 놓고, 다른 프로세스가 움켜쥐고 있는 자원을 기다리는 상황이다. 결국 모두가 다같이 옴짝달싹 못하게 된다예시시스템이 2개의 테이프 드라이브를 가지고 있다.(자원)P1과 P2 각각이 하나의 테이프 드라이브를 움켜쥐고 있고, 각각 서로의 테이프 드라이브가 필요한 경우.예시1로 초기화 된 세마포어(동기화 메커니즘) A, B -> P(A)가 호출되면 0이 됨. 다른 프로세스에서 P(A)를 마딱뜨렸는데 0이면 1이 될 때까지 대기해야함.다음 4가지 조건이 동시에 만족해야 Deadlock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필요조건).Mutual exclusion: 한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해당 자원을 사..
-
MIND: A Large-scale Dataset for News Recommendation 논문 한글 요약 - 2일상/학기 중 일기 2024. 6. 4. 21:10
해당 논문의 나머지 부분을 요약해보았다.1부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MIND: A Large-scale Dataset for News Recommendation 논문 한글 요약 - 1졸업 프로젝트 준비로 뉴스 추천 시스템을 공부하고 있는데, MIND 데이터셋 관련 논문을 읽다가 한국말로 정리해보았다.중간 부분까지 읽으면서 요약을 했고, 나머지 부분은 2편으로 만들어 올릴parksoffice.tistory.com4 방법일반적인 추천 방법과 뉴스에 특화된 추천 방법이 있음. 그리고 각각의 방법들은 각기 다른 설정과 데이터셋들을 이용해 개발되었음. 여기서는 이들을 다 MIND데이터셋을 사용하여 비교할 예정.4.1 일반적인 추천 방법들LibFM(Rendle,2012): factorization ma..
-
MIND: A Large-scale Dataset for News Recommendation 논문 한글 요약 - 1일상/학기 중 일기 2024. 5. 26. 19:09
졸업 프로젝트 준비로 뉴스 추천 시스템을 공부하고 있는데, MIND 데이터셋 관련 논문을 읽다가 한국말로 정리해보았다.중간 부분까지 읽으면서 요약을 했고, 나머지 부분은 2편으로 만들어 올릴 예정이다. MIND: A Large-scale Dataset for News Recommendationhttps://msnews.github.io/assets/doc/ACL2020_MIND.pdf 개요일반 유통이나, 영화 추천 시스템과 달리, 뉴스의 경우 높은 퀄리티의 벤치마크 데이터셋의 부족으로 많이 제한적이었음.그래서 뉴스 추천 시스템을 위해 등장한 large-scale 데이터셋이 바로 MIND임.이들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추천시스템의 성능은 뉴스컨텐츠 이해의 수준과, user interest modeling..
-
0503 - 인스타그램을 지울 용기일상/학기 중 일기 2024. 5. 3. 01:22
제목 그대로다.인스타그램 계정을 지웠다. 사실 지운 지는 꽤 됐다. 한 달에 거의 근접해 가는 것 같다.인스타그램이 머리를 잘 쓴 게, 계정을 삭제하고 한 달 안에 다시 로그인을 하면 복구해 준다.이전에도 인스타그램 계정을 지우려고 시도했었는데, 중도에 로그인해 번번이 실패했었다.그런데 이번에는 아마 이미 지워졌거나, 거의 기한에 근접한 것 같다. 먼저 인스타그램을 지운 이유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인스타를 보다 보면 시간이 너무 빨리 간다.나는 안 그래도 최대한 인스타를 덜 보려고 앱도 지워서, 가끔 웹으로만 들어가는 편이다.그런데도 막상 한 번 들어가서 지인들 근황이나 릴스를 보다 보면 시간이 내 손아귀에서 벗어난다.이 느낌이 아주 싫다. 공부를 하거나 강의를 들을 때는 시간이 정말 더럽게 안 가는데..